입시친

Medical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Contents

의대 입시 용어 및 의대 입시전형 자료 전달

정시2026학년도 정시 내신반영 대학(시행계획 기준)

메디친
2025-03-25
조회수 780


👩‍⚕️👨‍⚕️안녕하세요 메디친 입니다.

학교생활기록부(생기부)를 정시에 반영하는 움직임도 일반화되고 있죠!

작년까지는 서울대와 고려대, 부산대 의예와 치의예만 정시에서 학생부를 적용하고 있지만, 

올해부터는 성균관대 사범계열, 연세대, 한양대가 합류해요!


고교학점제(2025년 고1부터 적용, 2009년생) 도입에 따라서

2028학년도 대입부터 단순히 변별력이 낮은 수능 성적만으로는

우수한 학생을 가려 뽑기 힘들기 때문이에요.


2028학년도 대입에서는 학생부 내신이 5등급제로 바뀌고(1등급 상위4% → 10% 이내로), 

수능 역시 공통과목 평가로(선택과목 폐지)바뀌면서 시험 범위가 축소됐어요.


 서울대(지균)는 이미 정시에서 학생부 교과역량 평가를 40% 반영하고, 

수능성적도 백분위를 60%반영하고 있습니다.

실제 수능의 기능이 사라지고 자격고사화 되는거죠. 


오늘 대학별 상세 시행계획 기준 참고하셔서, 지원하시려는 대학 정시에

교과가 얼마나 반영되는지 확인해보시고 입시 성공 전략에 참고하시길 바랄게요!


🔖자료제공: 강남하이퍼 의대관 입시컨설턴트 🙋‍♂️'모두의 천선생님'




1. 서울대학교

  • 지역균형 전형 (고교별 2명 이내)

    • 수능: 60%

    • 교과 평가: 40%

  • 일반전형

    • 1단계: 수능 100% (2배수)

    • 2단계: 수능 80% + 교과 20% (합산)

  • 교과 평가 방법:

    • 정성평가 방식과 유사

    • 학생부의 교과학습발달상황(교과 이수 현황, 교과 학업성적,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만 반영

    • 교과 평가 내용: 학생부의 과목 이수 내용, 교과 성취도, 교과 학업 수행 내용의 세 가지 평가

    • 과목 이수 내용: 교과(목)별 위계에 따른 선택과목 이수 내용과 진로/적성에 따른 선택과목 이수 내용

    •  교과 성취도: 기초 교과 영역 및 모집단위 관련 교과 성취도의 우수성 평가

    •  과목 수준, 수강자 수, 원점수, 평균(표준편차), 성취도별 분포 비율 고려한

    • 교과 학업 수행 내용: 교과(목)별 수업 활동에서 나타나는 학업 수행의 충실도 평가

    • 평가 자료: 학교생활기록부, 교육과정 편성표(참고자료), 학교생활기록부 대체 서식



2. 연세대학교

  • 일반 전형

    • 수능: 95%

    • 교과: 5% (일괄합산)

  • 의대/언더우드국제대학

    • 의대: 1단계(2.5배수) 수능 95% + 교과 5%, 2단계 수능 90%+교과 5%+면접 5%교과 반영 방법: 교과성적을 수치화해 평가하는 정량평가 방식에 가까움

    • 언더우드국제대학: 1단계(2배수) 수능 95% + 교과 5%, 2단계 수능 90%+교과 5%+면접 5%

  • 교과 평가 방법 : 

    • 교과성적을 수치화해 평가하는 정량평가 방식에 가까움

    • 학생부 전 교과의 석차등급과 성취도별 점수를 부여
      -> 공통과목(과학탐구실험 제외), 일반선택과목
      -> 학생부 전 교과의 석차등급과 성취도별 점수를 부여

      • 1~2등급: 7점

      • 3~4등급: 6점

      • 5등급: 5점

      • 6~7등급: 3점

      • 8~9등급: 점수 없음

  • 진로 선택과목, 예체능, 전문교과

    • 절대평가 과목으로 간주해 A(우수)는 3점, B(보통)는 2점을 부여하고 C(미흡)는 점수를 부여하지 않음

    • 출결은 미인정 출결에 대해 감점 요소로 활용

      -> 미인정 결석/조퇴/지각/결과의 총점을 감점 반영해 3일 이하까지 감점이 없고 3일~5일 0.5점, 5일~7일 0.8점, 7일 초과면 1점을 감점

      -> 미인정 조퇴의 경우 1회를 결석 0.5일, 미인정 지각/결과는 1회를 결석 0.25일로 간주



3. 한양대학교

  • 일반 전형

    • 수능: 90%

    • 학생부 종합: 10%

  • 학생부 종합 평가:

    • 고교 교육과정의 충실한 이수 및 교과/과목 선택, 성취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

    • 학종 정성평가 방식과 유사할 것으로 예상



4. 성균관대학교 (사범대학)

  • 학생부 종합 평가: 20% 반영

  • 사범대학 모집단위: 교육학과 한문교육과 수학교육과 컴퓨터 교육과

  • 수시 교과전형

    • 학생부 교과성적 100%로 반영

    • 정량평가 80% + 정성평가 20% 혼합 방식

    • 학종의 학생부 전체를 종합적으로 정성평가하는 방식도 가능

    • 세부 사항은 계획 미공개



5. 부산대학교 (의대/치대)

  • 2025학년도 정시부터 일반과 지역 인재에서 의대/치대에 한 해 학업역량평가를 반영

  • 전형방법

    • 수능: 80%

    • 학업역량평가: 20% (정성평가)

  • 기존 수시 학생부 교과 지역 인재에서 학업역량평가 점수 반영

  • 올해부터 정시까지 확장 예정



6. 고려대학교

  • 교과우수전형

    • 수능: 80%

    • 교과: 20% * 의예과: 수능 80% + 교과 20% + 적/인성 면접[배점 없음]

  • 교과 평가 방법

    • 교과 점수: 석차등급/성취도를 수치화해 평가하는 정량평가 방식과 유사

    • 전체 교과의 석차 등급, 성취도, 성취도별 분포 비율을 활용해 대학 산출 방식에 따라 산정

    • 3학년 2학기까지 전 교과 원점수/평균/표준편차/석차등급/성취도/성취도별분포비율이 기재된 모든 과목의 성적을 자체 환산점수로 반영

      점수 산출 예시

      • 1-2등급 간: 2점 차이

      • 2-3등급 간: 4점 차이

      • 3-4등급 간: 8점 차이

      • 4-5등급 간: 16점 차이

    • 내신은 거의 모든 과목이 반영됩니다.

      서울대와 특히 구분해야 할 것은 내신 반영에 있어 정량적 방식을 채택한 점입니다.

      내신 등급으로만 환산된 점수를 수능 성적에 더해 원서를 써야한다는 점에서 일반 전형과 흡사하게 느껴집니다. 
      (추가적으로 성취도와 성취도별 분포비율이 기재된 과목에 대해서도변환석차등급을 사용하여 결국 석차등급으로 교과에 반영됩니다.)


      복잡해 보이는 식이지만, 특정 평균등급의 점수로 변환해 살펴보게 되면 이해가 조금 더 쉽습니다.
      학생부 교과 전형에서 점수 변환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위의 표와 같이 점수가 산출되게 됩니다.
      위의 표를 보면, 등급 간 점수 차이가 다르게 적용됩니다. 이를 통해 점수를 쉽게 변환해 볼 수 있습니다.
      즉, 등급이 높을수록 점수 차이가 작고, 낮을수록 점수 차이가 커집니다.

      등급 간 점수 차이
      • 1-2등급: 2점 차이

      • 2-3등급: 4점 차이

      • 3-4등급: 8점 차이

      • 4-5등급: 16점 차이

      • 수학 점수 예시

        이와 관련해 이과 학생을 예로 들어봅시다. 수학에서 4점 차가 나면,
        고려대학교 교과우수전형에서 변환 점수 기준으로는 6점 차가 납니다.
        그러므로, 교과 평균이 4등급인 학생이 2등급인 학생과 동일한 점수를 받으려면, 수학에서 8점의 표준점수를 더 얻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 변환점수 차이

        고려대 교과우수전형의 변환점수 70% 컷을 보면, 변환점수 12점 차는 공대 최상위 학과와 하위 학과의 차이 정도로 큰 차이가 나기 때문에,
        실제로 4~5등급 학생이 3등급 이상의 학생들과 경쟁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결론을 낼 수 있습니다.



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