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메디친 입니다.
의대 정시는 작은 점수 차이로 당락이 갈리는 만큼, 대학별 가산점 제도를 제대로 이해하는 게 중요해요.
특히 과학탐구 선택 과목에 따라 유불리가 크게 달라질 수 있어서, 전략적으로 지원해야 해요.
이 글을 통해 가산점이 정시 합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유리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도와드릴게요!
✅의약학계열 정시 지원에서 가산점의 중요성
의약학계열의 경우 1문제 차이가 아니라 대학별 환산 점수의 소수점으로도 당락이 결정나는 경우가 많아요.
특히 자신의 점수 구조나 선택 과목에 따른 학교별 유·불리가 명확하게 갈리는 경우가 일반적이에요.
즉, 가산점의 유무와 규모에 따라 지원 가능 대학이 한정적이라면 큰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어요.
물론 자신에게 맞는 대입 전략이 가장 중요하지만, 실제 정시 지원 시 가산점이 어느 정도의 영향력을 미치는지,
의약학계열이라도 적용 범위가 대학별로 모두 다르기 때문에 학교별 발표 자료를 꼼꼼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어요.
[표1] 의약학계열(자연) 과학탐구 가산점 높은 순서
가산점 | 대학 | 구분 |
의예 | 치의예 | 약학 | 한의예 | 수의예 |
10% | 순천향대 | O | | | | |
6% | 이화여대 | O | | O | | |
5% | *가톨릭관동대 | O | | | | |
경북대 | O | O | O | | O |
동아대 | O | | | | |
*목포대 | | | O | | |
*부산대 | O | O | O | | |
성균관대 | O | | O | | |
*세명대 | | | | O | |
중앙대 | O | | O | | |
3% | 가톨릭대 | O | | O | | |
고려대 | O | | | | |
동국대 | | | O | | |
*삼육대 | | | O | | |
숙명여대 | | | O | | |
아주대 | O | | O | | |
연세대 | O | O | O | | |
인하대 | O | | | | |
한양대(ERICA) | | | O | | |
4점 | 경희대 | O | O | O | O | |
1.5점 | 대전대 | | | | O | |
미정 | 한양대 | O | | | | |
※과탐 Ⅱ과목에만 부여하는 가산점은 제외함
※2026학년도 전형 계획안 기준으로, 추후 2026학년도 수시 모집 요강과 상이할 수 있음
※*색상 표기 : 과탐 2과목 응시자에 한해 가산점을 부여함
✅과학탐구 과목에 높은 가산점을 부여하는 대학
의약학계열(자연) 중 과학탐구 과목에 가장 높은 가산점을 부여하는 대학은 순천향대로,
과학탐구 과목 응시자에게 10%의 가산점을 주고 있어요.
예를 들어 과학탐구 한 과목을 기준으로 백분위 98을 받은 학생이 있다면
9.8의 가산점을 받아 백분위 98이 아닌 107.8을 기준으로 대학별 환산 점수를 산출하게 돼요.
[표2] 의약학계열(자연) 과학탐구 Ⅱ과목 가산점 높은 순서
가산점 | 대학 | 구분 |
의예 | 치의예 | 약학 | 한의예 | 수의예 |
7% | *가톨릭관동대 | O | | | | |
5% | 경상국립대 | O | | O | | O |
단국대(천안) | O | O | O | | |
동국대(WISE) | O | | | | |
*차의과학대 | | | O | | |
3점 | **서울대 | O | O | O | | O |
2점 | 경성대 | | | O | | |
※2026학년도 전형 계획안 기준으로, 추후 2026학년도 수시 모집 요강과 상이할 수 있음
*가톨릭관동대, 차의과학대 : 생명과학Ⅱ, 화학Ⅱ 응시자에 가산점
**서울대 : 과탐Ⅰ+Ⅱ 조합(동일과목 선택 불가) 3점, 과탐Ⅱ+Ⅱ 조합 5점 가산
✅과학탐구 Ⅱ과목 가산점 부여 대학
의약학계열(자연) 중 과학탐구 Ⅱ과목에 가산점을 부여하는 대학은 가톨릭관동대, 경상국립대, 단국대(천안), 동국대(WISE),
차의과학대, 서울대, 경성대 등 총 7곳이에요.
이들 대학 중 가톨릭관동대를 제외한 6곳은 모두 과학탐구 두 과목 응시자만 지원이 가능해요.
즉, 경상국립대, 경성대, 단국대(천안), 동국대(WISE), 서울대, 차의과학대 등 총 6곳은 ‘사탐+과탐’ 조합 응시자는 지원할 수 없어요.
이 대학들 중 과학탐구 Ⅱ과목 가산점 규모가가장 큰 대학은 가톨릭관동대로, 탐구 두 과목의 평균 백분위에 7% 가산점을 부여해서 그 영향력이 커요.
또한, 가톨릭관동대와 차의과학대는 생명과학Ⅱ와 화학Ⅱ 응시자에 한해서만 Ⅱ과목 가산점을 부여하며,
서울대는 Ⅱ과목 1개 선택 시 3점을, Ⅱ과목 2개 선택 시 5점을 가산해요.
✨ [Special Tip] ✨
✅가산점에 따른 환산점수 차이 분석
의약학계열(자연) 가산점의 실제 영향력 - 가산점 없는 vs 가산점 있는 vs Ⅱ과목 가산점
구분 | 선택 과목 | 탐구 2과목 평균 백분위 | 가산점 여부 | 가톨릭관동대 의예과 탐구 환산점수 (300점 만점) |
학생 A | 생명과학Ⅰ+생활과 윤리 | 98 | X | 294 |
학생 B | 생명과학Ⅰ+지구과학Ⅰ | 5% 가산 | 308.7 |
학생 C | 생명과학Ⅰ+화학Ⅱ | 7% 가산 | 314.58 |
좀 더 직관적인 판단을 위해 탐구 반영 비율을 고려한
(환산 총점 1,000점 중 탐구영역 300점) 가산점의 유무에 따른 환산점수 계산을 해볼게요.
탐구 2과목 평균 백분위가 98로 동일한 A, B, C 학생이 각각 다른 선택 과목 조합으로 가톨릭관동대 의예과에 지원한다면,
탐구영역 300점을 기준으로 가산점을 못 받은 A학생은 294점, 과학탐구 2과목을 선택해 가산점 5%를 받은 B학생은 308.7점,
Ⅱ과목을 선택해 가산점(생명과학Ⅱ와 화학Ⅱ 한정) 7%를 받은 C학생은 314.58로,
가산점을 못 받은 경우는 극복이 불가능할 정도로 격차가 발생해요.
🔖출처: 이투스교육평가연구소
안녕하세요 메디친 입니다.
의대 정시는 작은 점수 차이로 당락이 갈리는 만큼, 대학별 가산점 제도를 제대로 이해하는 게 중요해요.
특히 과학탐구 선택 과목에 따라 유불리가 크게 달라질 수 있어서, 전략적으로 지원해야 해요.
이 글을 통해 가산점이 정시 합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유리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도와드릴게요!
✅의약학계열 정시 지원에서 가산점의 중요성
의약학계열의 경우 1문제 차이가 아니라 대학별 환산 점수의 소수점으로도 당락이 결정나는 경우가 많아요.
특히 자신의 점수 구조나 선택 과목에 따른 학교별 유·불리가 명확하게 갈리는 경우가 일반적이에요.
즉, 가산점의 유무와 규모에 따라 지원 가능 대학이 한정적이라면 큰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어요.
물론 자신에게 맞는 대입 전략이 가장 중요하지만, 실제 정시 지원 시 가산점이 어느 정도의 영향력을 미치는지,
의약학계열이라도 적용 범위가 대학별로 모두 다르기 때문에 학교별 발표 자료를 꼼꼼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어요.
[표1] 의약학계열(자연) 과학탐구 가산점 높은 순서
가산점
대학
구분
의예
치의예
약학
한의예
수의예
10%
순천향대
O
6%
이화여대
O
O
5%
*가톨릭관동대
O
경북대
O
O
O
O
동아대
O
*목포대
O
*부산대
O
O
O
성균관대
O
O
*세명대
O
중앙대
O
O
3%
가톨릭대
O
O
고려대
O
동국대
O
*삼육대
O
숙명여대
O
아주대
O
O
연세대
O
O
O
인하대
O
한양대(ERICA)
O
4점
경희대
O
O
O
O
1.5점
대전대
O
미정
한양대
O
※과탐 Ⅱ과목에만 부여하는 가산점은 제외함
※2026학년도 전형 계획안 기준으로, 추후 2026학년도 수시 모집 요강과 상이할 수 있음
※*색상 표기 : 과탐 2과목 응시자에 한해 가산점을 부여함
✅과학탐구 과목에 높은 가산점을 부여하는 대학
의약학계열(자연) 중 과학탐구 과목에 가장 높은 가산점을 부여하는 대학은 순천향대로,
과학탐구 과목 응시자에게 10%의 가산점을 주고 있어요.
예를 들어 과학탐구 한 과목을 기준으로 백분위 98을 받은 학생이 있다면
9.8의 가산점을 받아 백분위 98이 아닌 107.8을 기준으로 대학별 환산 점수를 산출하게 돼요.
[표2] 의약학계열(자연) 과학탐구 Ⅱ과목 가산점 높은 순서
가산점
대학
구분
의예
치의예
약학
한의예
수의예
7%
*가톨릭관동대
O
5%
경상국립대
O
O
O
단국대(천안)
O
O
O
동국대(WISE)
O
*차의과학대
O
3점
**서울대
O
O
O
O
2점
경성대
O
※2026학년도 전형 계획안 기준으로, 추후 2026학년도 수시 모집 요강과 상이할 수 있음
*가톨릭관동대, 차의과학대 : 생명과학Ⅱ, 화학Ⅱ 응시자에 가산점
**서울대 : 과탐Ⅰ+Ⅱ 조합(동일과목 선택 불가) 3점, 과탐Ⅱ+Ⅱ 조합 5점 가산
✅과학탐구 Ⅱ과목 가산점 부여 대학
의약학계열(자연) 중 과학탐구 Ⅱ과목에 가산점을 부여하는 대학은 가톨릭관동대, 경상국립대, 단국대(천안), 동국대(WISE),
차의과학대, 서울대, 경성대 등 총 7곳이에요.
이들 대학 중 가톨릭관동대를 제외한 6곳은 모두 과학탐구 두 과목 응시자만 지원이 가능해요.
즉, 경상국립대, 경성대, 단국대(천안), 동국대(WISE), 서울대, 차의과학대 등 총 6곳은 ‘사탐+과탐’ 조합 응시자는 지원할 수 없어요.
이 대학들 중 과학탐구 Ⅱ과목 가산점 규모가가장 큰 대학은 가톨릭관동대로, 탐구 두 과목의 평균 백분위에 7% 가산점을 부여해서 그 영향력이 커요.
또한, 가톨릭관동대와 차의과학대는 생명과학Ⅱ와 화학Ⅱ 응시자에 한해서만 Ⅱ과목 가산점을 부여하며,
서울대는 Ⅱ과목 1개 선택 시 3점을, Ⅱ과목 2개 선택 시 5점을 가산해요.
✨ [Special Tip] ✨
✅가산점에 따른 환산점수 차이 분석
의약학계열(자연) 가산점의 실제 영향력 - 가산점 없는 vs 가산점 있는 vs Ⅱ과목 가산점
구분
선택 과목
탐구 2과목
평균 백분위
가산점 여부
가톨릭관동대 의예과
탐구 환산점수 (300점 만점)
학생 A
생명과학Ⅰ+생활과 윤리
98
X
294
학생 B
생명과학Ⅰ+지구과학Ⅰ
5% 가산
308.7
학생 C
생명과학Ⅰ+화학Ⅱ
7% 가산
314.58
좀 더 직관적인 판단을 위해 탐구 반영 비율을 고려한
(환산 총점 1,000점 중 탐구영역 300점) 가산점의 유무에 따른 환산점수 계산을 해볼게요.
탐구 2과목 평균 백분위가 98로 동일한 A, B, C 학생이 각각 다른 선택 과목 조합으로 가톨릭관동대 의예과에 지원한다면,
탐구영역 300점을 기준으로 가산점을 못 받은 A학생은 294점, 과학탐구 2과목을 선택해 가산점 5%를 받은 B학생은 308.7점,
Ⅱ과목을 선택해 가산점(생명과학Ⅱ와 화학Ⅱ 한정) 7%를 받은 C학생은 314.58로,
가산점을 못 받은 경우는 극복이 불가능할 정도로 격차가 발생해요.
🔖출처: 이투스교육평가연구소